제 24 강 회개 사도행전 11:11~18
회개란 지난날의 죄를 버리고 새로운 길로 접어드는 새 삶의 출발을 의미하는데,
하나님께서 중생케 하신 결과로 나타나는 일이다.
중생과 회개 신앙 칭의 수양 이 다섯 가지는 논리적인 순서이고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소명, 중생 회심 신앙 칭의 수양, 성화 견인, 영화, 이렇게 순차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보통 생각하기로는 먼저 회개 한 다음에, 회개 했으므로 중생하는 것 아니냐 고 생각하기 쉬운데 순서가 중생이 먼저이고 회개, 혹은 회심이 나중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왜 중생이 먼저인가? 태어나지 않으면 몸도 없고 눈도 없고 귀도 없다.
태어나지도 못한 사람이 자기가 죄인인 것을 깨닫거나 자기의 죄 때문에 가슴 아파 할 수 없기 때문에 회개할 수도 없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쉬울 것이다.
영적으로 출생한 다음에야 자기가 이렇게 흉악한 죄인이었나 하고 충격을 받고 회개하고, 예수 밖에는 구주가 없다는 것을 알고 믿게 되어 새 사람의 삶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구약의 용어
나캄 - 계획과 행동을 수반하는 것으로 ‘뉘우치다’ 라는 뜻이다.
수브 - ‘돌아오다’ 라는 뜻으로 떠났다가 되돌아온다는 의미이다.
신약의 용어
메타노이아 - 근본적인 정신적 변화를 뜻한다.
에피스트로페 - ‘방향을 바꾸다’, ‘되돌아가다’ 는 뜻이다.
회심의 종류
성경은, 회심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실례들을 말해주고 있다.
1) 민족적 회심 - 삼상7:5-6, 사무엘시대나 포로시대의 유다, 니느웨 성민들의 예(욘3:1)에서 볼 수 있다.
2) 일시적 회심 - 마음의 변화가 아닌, 잠시 스쳐가는 일시적 뉘우침
마 13:20-21) “돌밭에 뿌리웠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즉시 기쁨으로 받되, 그 속에 뿌리가 없어 잠시 견디다가 말씀을 인하여 환난이나 핍박이 일어나는 때에는 곧 넘어지는 자요”
딤전 1:19-20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라 어떤 이들이 이 양심을 버렸고 그 믿음에 관하여는 파선하였느니라. 그 가운데 후메내오와 알렉산더가 있으니 내가 사단에게 내어준 것은 저희로 징계를 받아 훼방하지 말게 하려 함이니라” 연초에 하는 금연, 금주 결심과 같이 성령이 주도하신 것이 아닌, 자기 기분 따라 잠깐 결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진정한 회심 - 바울, 나아만, 삭개오, 사마리아 여인 등의 실례에서 볼 수 있다.
잠시 뉘우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방향을 아주 바꾸는 것이다.
회심은 거듭남의 외면적 표현이며, 죄인의 의식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인데 하나님의 성령이 일으키시는 작용이다.
행 11:18 “저희가 이 말을 듣고 잠잠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가로되 그러면 하나님께서 이방인에게도 생명 얻는 회개를 주셨도다. 하니라.”
우상을 숭배하며 하나님 없이 살던 이방인들이 성령을 받아 새사람이 된 것이 회심이다.
회심이란, “죄인의 의식적인 생활 속에서 믿음과 회개를 통하여 하나님께 돌아와서 새 생활을 하게 해 주시는 하나님의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4) 반복적 회심 - 엄밀한 의미에서 회심은 반복될 수 없다.
사람의 몸이 한번만 태어나듯이 영적인 출생도 두 번 할 수 없다. 그러나 사람은 날마다 새로워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래서 성경은 반복적 회심에 대하여 말씀하고 있다. 베드로가 주님이 자기의 발은 씻기실 수 없다고 하다가 머리까지 씻겨달라고 하자, 이미 목욕한 자는 발 밖에 씻을 필요가 없다고 하셨다.
계 2:5 “그러므로 어디서 떨어진 것을 생각하고 회개하여 처음 행위를 가지라. 만일 그리하지 아니하고 회개치 아니하면 내가 네게 임하여 네 촛대를 그 자리에서 옮기리라.”
계 3:3 “그러므로 네가 어떻게 받았으며 어떻게 들었는지 생각하고 지키어 회개하라 만일 일깨지 아니하면 내가 도적 같이 이르리니 어느 시에 네게 임할는지 네가 알지 못하리라”
여기서 말하는 회개는 이미 중생하고 회개한 사람이 잘못된 길로 들어설 때에 돌이키라고 하는 궤도수정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것을 반복적인 회심이라고 한다.
딤후 3:16,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회심의 요소
* 지적 요소 - 과거의 죄와 부정과 절망의 생활에 대하여 깨닫고 인식하는 생각의 변화
롬 3:20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율법, 말씀은 자기의 더러움을 깨닫게 하는 거울이다.
* 정서적 요소 - 하나님에 대항하여 범한 죄 때문에 슬퍼하며 두려워하는 감정의 변화
고후 7:9-10 “내가 지금 기뻐함은 너희로 근심하게 한 까닭이 아니요 도리어 너희가 근심함으로 회개함에 이른 까닭이라...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
* 의지적 요소 - 죄된 삶으로부터 새로워지려는 행동의 변화와 목적의 변화
빌 3:12, “내가 이미 얻었다 함도 아니요 온전히 이루었다 함도 아니라 오직 내가 그리스도 예수께 잡힌바 된 그것을 잡으려고 좇아가노라』
14『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노라”
로마 카톨릭 교회의 회개의 개념
통회 - 슬픔의 회개 - 개인적 죄에 대하여 슬퍼하는 슬픔의 회개
고해 - 고백하는 회개 - 자기의 죄를 신의 대리자에게 고백하는 회개
보속 - 행동으로서의 회개 - 저지른 죄의 대가를 지불하는 태도로, 고통스러운 일을 인내하거나 어렵고도 불유쾌한 일을 수행함으로 되는 회개이다. (긍정적인 면도 있다.)
그러나, 성경은 로마 카톨릭의 견해와 다르다. 성경은 회개를 전적으로 내적인 행위라고 보며, 죄에 대한 비애와 진실한 생활의 변화인데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의지하고 새 출발하여 살아가는 삶이 진정한 회개의 열매이다.
회심의 특성
1) 잠재의식에서가 아니라, 의식생활에서 일어난다.
2) 옛 사람을 벗는 것이며, 죄악생활을 포기하고 새 사람을 입는 것이다.
3) 칭의 처럼 법적인 행위가 아니라, 도덕적이며 재창조적인 하나님의 행위이다.
4) 성화처럼 반복되고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거듭난자의 단회적인 행위이다.
중생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일이요 인간은 전혀 수동적인 입장에 있는데 반하여, 회심에서는 하나님과 더불어 협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회심은 하나님이 새 마음을 주시는 일이다.
그러나 사람도 성령께 순종하여 결단하고 협력하여야 하는 일이다.
겔 36:26 “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렘 33:11 “여호와의 집에 감사제를 드리는 자들의 소리가 다시 들리리니, 이는 내가 이 땅의 포로로 돌아와서 처음과 같이 되게 할 것이니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사 55:7 “악인은 그 길을, 불의한 자는 그 생각을 버리고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그리하면 그가 긍휼히 여기시리라 우리 하나님께로 나아오라 그가 널리 용서하시리라”
행 2:38 “베드로가 가로되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으리니”
그러므로 감사하자. 나를 택하시고 부르시고, 중생케 하시고, 새 마음을 갖게 해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와 찬송을 드리는 일 외에 다른 무엇이 있으랴?
“아 하나님의 은혜로 이 쓸데없는 자
왜 구속하여 주는 지 난 알 수 없도다.” (310장)
롬 8:28-31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그런즉 이 일에 대하여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 공지 | 나눔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관리자 | 3843 | |
| 49 | 장기(신장,간) 기증과 헌혈에 대한 기고 | 나눔 | 2024-05-22 | 127 |
| 48 | 2020.4 15 새벽을 노래하다 | listener | 2020-04-19 | 159 |
| 47 | 교회역사해설 일부분 | 나단 | 2018-10-13 | 238 |
| 46 | 급박합니다. | 작은행 | 2018-09-06 | 200 |
| 45 | 청년부 전도행사 홍보영상 | .. | 2017-05-21 | 6 |
| 44 | 성경핵심교리-구원의 성격 | 관리자 | 1014 | |
| 43 | 성경핵심교리-하나님의 인내와 죄인의 영광 | 관리자 | 1101 | |
| 42 | 성경핵심교리-양자됨과 성화 | 관리자 | 940 | |
| 41 | 성경핵심교리-신앙과 칭의 | 관리자 | 984 | |
| 40 | 성경핵심교리-회개 | 관리자 | 1025 | |
| 39 | 성경핵심교리-중생 | 관리자 | 951 | |
| 38 | 성경핵심교리-하나님의 부르심(소명) | 관리자 | 1014 | |
| 37 | 성경핵심교리-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역할 | 관리자 | 905 | |
| 36 | 성경핵심교리-제 21강 하나님의 구원계획 | 관리자 | 981 | |
| 35 | 성경핵심교리-제 20강 속죄의 본질 | 관리자 | 1012 |


댓글